아랍어 숫자가 따로 있고, 아라비아 숫자가 따로 있다는 말입니까?
네, 그렇다는군요. 그 둘은 출생부터 다른가 봅니다.
5-6세기 경 인도와 유럽을 왔다 갔다 하던 아랍 상인들이 수치 계산에 편리한 인도 숫자를 배워서는 이탈리아 나폴리 항에서 사용하는 것을 유럽인들이 보고 그걸 아라비아 숫자라 했다는군요.
그래서 이집트나 이란, 예멘 같은 아랍어권 나라에서는 자동차 번호판에 아라비아 숫자가 하나도 없이 아랍어와 아랍어 숫자만 보이는군요. 1, 2, 3 같은 아라비아 숫자가 없는 자동차 번호판이 있다니 조금 신기하지요?
같은 아랍어 권이라도 사우디 아라비아, 시리아, 요르단, 오만 같은 나라는 번호판에 아랍어글자와 로마글자, 아랍어 숫자와 아라비아 숫자 등 네 가지 글자가 모두 들어 있더라구요...
우리나라 세종대왕은 훈민정음 만들 때에 보통 글자만 만들고 계산용 숫자는 안 만들었지만, 인도 같은 경우는 우리보다 훨씬 먼저 글자를 만들었는데도 보통 글자, 숫자 글자 모두 다 있더라구요. 그래서 인도는 20개 언어에 숫자 글자도 한 20개 됩니다.
그 중에 아랍 상인들이 베껴 간 숫자 글자도 서너 가지는 될 것이고 그것들을 나폴리 항구에서 쓰고 있으니, 계산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좀 불편한 로마 숫자보다는 조금 더 편리해 보이니까 유럽 상인들이 아랍 상인들이 쓰는 이 글자를 하나둘 배워서 쓰기 시작한 것이지요.
그러니까 인도에서 사용되던 여러 가지 숫자 글자를 아랍 상인들이 일부 수정하여 쓴 것 같고, 그걸 다시 유럽 상인들이 일부 수정하여 지금의 1, 2, 3 이 되었다는 말이지요. 아랍, 유럽 상인들이 이것저것 계산할 때 사용했던 숫자 글자를 유럽인들은 아라비아 숫자라 불렀고..
이슬람 세계에서 주로 쓰는 아랍어에는 별도로 아랍어 숫자라는 것이 있었지만 외부 세계에는 전혀 엉뚱한 글자가 아라비아 숫자로 불리어졌다는 것이지요.
어쨌거나 아랍, 유럽 상인들이 사용하던 이 숫자 글자 일명 아라비아 숫자는 지금은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숫자 글자가 되어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세계에서 안 쓰는 나라가 없습니다.
이와 같이 잘 모르고 이름 붙여진 사례가 많지만 그 중 재미있는 것 몇 가지만 이야기해 보면, 유럽 지방에서 집도 없이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는 무리들을 이집트에서 넘어 온 사람들로 잘못 알고 이집시언(Egyptian)이라 불렀고 줄여서 집시(Gypsy)라고 하였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인도 북부 지방에서 넘어 온 사람들이었고...
또 컬럼버스가 인도로 가는 직항 노선을 개발한다고 갔다가 내린 땅이 인도인 줄 알고 거기 사람들을 무조건 인디언(Indian)이라 불렀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인도가 아니라 신대륙의 원주민이었다는 것이고..
하여튼 이 두 가지 다 인도와 관련된 이야기이지만 당시 유럽 사람들은 인도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많았다는 반증이기도 하지요.
어쨌든 신비의 나라 인도는 종족마다 숫자 글자를 따로 만들었고 수학의 발달 역시 세계 최고 수준이었고... 숫자의 명칭 또한 세계의 어느 나라도 못 따라 올 만큼 다양하다고 합니다.
0, 10, 백, 천, 만 이후부터는 만 배 씩 올라갈 때마다 새로운 명칭을 만들어 썼는데요...
억 – 조 – 경 – 해 – 자 – 양 – 구 – 간 – 정 – 재 – 극 – 항하사 – 아승기 – 나유타 –불가사의 – 무량대수....
이 중 무량대수는 동그라미가 68개나 붙은 큰 수라 하니 입이 쩍 벌어집니다.
또 1보다 작은 소수의 명칭도 할-푼-리-모-.... 등 21가지나 있다고 합니다.
옛날 이야기 그만 하고 유럽 큰 숫자 명칭도 몇 개 알아 둬야지요... 얘네들은 동그라미 3개마다 명칭이 달라지는데, 킬로 – 메가(백만) – 기가(십억) – 테라(1조)... 로 나가지요.
또 1000분의 1미터를 밀리미터라 하는데요, 밀리 – 마이크로 – 나노 – 피코...로 나갑니다.
머리에 쥐가 나는 분이 있다고 하여 오늘은 이만 하지요
-----------------------------------
글쓴이 : 문학박사 황재순(인천 부개고등학교장)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몸 속의 담석 결석 배출법 (0) | 2014.08.11 |
---|---|
배고픔 1시간 즐기면 만성병 훌훌~ 탈출 (0) | 2014.08.04 |
신통한 생활의 지혜 77 가지 (0) | 2014.08.02 |
대단한 깻잎 (0) | 2014.07.29 |
재미있는 상식모음 1 (0) | 2014.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