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에르토리코인들은 이 그림을 민족혼이 담긴 최고의 예술품 으로 자랑한다.
B.C 3세기에 살았던 역사학자이자 철학자인
참고 : 막시무스의 라틴어 원문 소개 사이트
아울러 이 그림은 아래의 원문의 설명대로, 딸이 아버지에게
푸에드토리코 국립 미술관의 현관에 걸려 있다는 노인과 여인이라는 제목의 저 그림에 대한
감동적인 해설이 유행인 것 같다.
겉으로 보이는 것만이 아니라 그림에 숨은 진정한 의미를 파악해야 하듯, 우리의 일상에서도
교만과 아집, 편견을 버리고 본질을 볼 수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푸에드리토리코(Puerto Rico)가 어떤 곳인지 안다면 "국립" 미술관이란 표현에 좀 이상함을
느꼈을 것이다.
게다가 중남미의 푸에드토리코에서 그려진 그림이 현대적이기는 커녕 왜 저렇게 르네상스 풍인가?.
진상은 이렇다.
감옥에 갇혀 굶어죽게 된 아버지를 딸이 자기 젖을 먹여 살려 내었다는 것은 맞다.
문제는 이 감동적인 얘기가 현대의 푸에르토리코가 아니라 고대 로마의 것!!!!이라는 점이다.
서기 30년경, 발레리우스 막시무스가 쓴 Facta et dicta memorabilia에 실려있는 얘기로
아버지의 이름은 cimon, 아버지에게 젖을 먹인 딸의 이름은 Pero라고 하는데, 딸의 이 숭고한 행동에
감동안 당국은 결국 아버지를 석방하였다고 한다.
이 이야기를 주제로 하여 그린 그림을 Caritas Romana 라고 부르는데, 고대 로마에서는 벽화로도
많이 그려질 정도로 매우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중세에 접어들면서 이 주제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가.
인간의 육체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던 르네상스 시대부터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그림이 노인과 젊은 여자의 부자연스러운 애정행각을 그린 3류 포르노 작품이 아닌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육체에 대한 관심이"에서 보듯, 이런 그림이 어느정도의 에로틱한 면을 포함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러니 이 그림을 보고서 에로틱한 상상을 하는 것은 결코 잘못이 아니다.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
정답이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니 말이다.
오히려 Caritas Romana 를 보고서 "푸에르토리코"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독재정권과 맞서 싸운 투사라는식의
황당한, 이념 과잉의 왜곡된 해설이야 말로 더 큰 잘못일 것이다.
"본질을 알면 시각이달라진다."라는 말은 "푸에르토리코의 국립 미술관" 운운하는 엉터리 해설에
되돌려 주어야할 말이 아닐까?.
참고 문헌 : The Female Breast as a Source Of Charity. artistic Depictions of Caritas Romana
그리고 문제의 그림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Rijksmuseum에 있는 Rubens의 작품이다.
도대체 어디서 "푸에르토리코 국립 미술관"이니 "푸에르토리코의 민족혼이 담긴 최고의 예술품"이니
하는 말이 나온건지........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신 음식 (0) | 2010.07.02 |
---|---|
지치는 암치료에 성약 (0) | 2010.06.26 |
호두로 건강한 혈관 만들기 (0) | 2010.06.25 |
[스크랩] 과일이 `보약` 되는 12가지 방법 (0) | 2010.06.25 |
불가에서 말하는 건강십훈 (0) | 2010.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