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트로톡신 식중독 1월 복어에는 테트로톡신이라는 독소가 있기 때문에 함부로 다뤄서는 안된다 심하면 10분이내에도 사망한다 |
웰치균 식중독 2월 산소를 싫어하는 균으로 육류 가공품에서 발생하기 쉽고 가열조리한 음식에도 발생한다 |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 3,4월 종기, 여드름, 상처난 부위에 있는균으로 독소는 열에 강해 높은 온도로 가열해도 균은 죽으나 독소는 남는다 |
세균성이질 5월 식중독은 아니지만 물로 옮겨지는 전염병이다. 물은 끓어먹고 손은 자주 씻는다
|
병원성 대장균 o-157 6월 병원성 대장균 o-157에 의한 대규모 집단 식중독 발생 초기에적절한 치료와대응 |
병원성대장균 o-157 7월 “충분히 익혀서 섭취” |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여름철 식중독의 왕자” 8월 어패류의 생선회, 초밥이 대표적이며 도마나 칼 등에서 오염된 채소를 소금물에 절일 경우 발생되기 쉽다
|
살모넬라 식중독 9월 가열하면 쉽게 죽는다 고기, 달걀 등을 섭취한후 손이나 조리기구는 충분히 소독하고 쥐, 바퀴벌레, 파리 등은 없앤다 |
무스카린 식중독 10월 독버섯에 있는 독소에 의한 식중독이므로 야생버섯을 함부로 먹지 않는다. |
그 외 리스테리아 식중독 11, 12월 냉장고에 보관한 음식이라도 끓여서 먹는것이 좋다. 아이스크림은 주의할것
|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1. 식품의 외관, 냄새 등신선도가 의심가는 것은 먹지 않는다. 2. 식기류, 도마, 칼 , 행주는 소독하여 건조시켜서 사용한다. 3. 조리한 음식은 가급적 짧은 시간에 먹는다. 4. 물과 음식은 반드시 끓여서 먹는다 5. 식사전과 음식조리시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청결히 한다 6. 냉장고의 냉잔상태를 너무 믿지 말고 장기간 보관하지 않는다. |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7/23 부터 저작권법이 대폭 강화됩니다 (0) | 2009.07.24 |
---|---|
[스크랩] 약이 되는 음식 10 가지 (0) | 2009.07.24 |
[스크랩] 맥주 100배 맛있게 먹는법 (0) | 2009.07.22 |
낚시 메일 조심 (0) | 2009.07.20 |
[스크랩] 젊어지려면 마늘을 먹자 (0) | 2009.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