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김홍도와 신윤복이 춘화
김홍도 (조선 화가) [金弘道, 단원] 1745(영조 21)~? 조선 후기의 대표적 화가. 산수·도석인물(道釋人物)·풍속·화조 등 여러 분야에 걸쳐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으며, 그의 화풍은 조선 후기 화단에 큰 영향을 끼쳤다. 본관은 김해.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서호(西湖)·취화사(醉畵士)·고면거사(高眠居士)·첩취옹(輒醉翁)·단구(丹邱). 만호를 지낸 진창(震昌)의 손자인 석무(錫武)의 아들로 태어났다. 화원 집안인 외가로부터 천부적 재질을 물려받은 듯하다. 문하에서 그림을 배웠다. 20대에 도화서의 화원이 되었으며, 28세 때인 1773년에는 어용화사로 발탁되어 영조어진과 왕세자의 초상을 그리고, 이듬해 감목관(監牧官)의 직책을 받아 사포서(司圃署)에서 근무했다. 1777년 별제(別提)로 있으면서 강희언(姜熙彦)·김응환(金應換)·신한평(申漢枰)·이인문(李寅文) 등과 함께 그림제작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했다. 1781년에는 한종유(韓宗裕)·신한평 등과 함께 정조어진 익선관본(翼善冠本) 도사(圖寫)의 동참화사로 활약하고 그 공으로 경상도 안동 부근 안기(安奇)역의 찰방(察訪)을 제수받았다. 이무렵부터 명(明)의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의 호를 따라 '단원'이라 자호했다. 1788년에는 김응환과 함께 왕명으로 금강산 등 영동 일대를 기행하고 그곳의 명승지를 수십 장(丈)이나 되는 긴 두루마리에 그려 바쳤다. 1791년에 다시 어용화사로 선발되어 정조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 제작에 참여한 공으로, 그해 겨울 충청북도 연풍 현감에 임명되어 1795년 정월까지 봉직했다. 현감 퇴임 후의 만년에는 지방의 권농(勸農)을 지내기도 했는데, 병고와 가난이 겹친 생활고 속에서 여생을 마쳤다. 1810년경을 전후하여 타계한 것으로 추정된다.
나이가 지긋한 늙은 중과 공양 온 젊은 여인이 정사를 나누는 장면이다, 다급한 상황임을 암시하고 있다, 허리를 양다리로 휘어감고 있는 여인의 자세로 보아 여인 역시 성적 애절함이 엿보인다, 더욱 강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반영하는 성풍속화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 스님과 여염집 여인의 정사 장면을 묘사한 그림에는 소설 같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 조선시대 여성에게 아들을 못 낳는 일은 칠거지악(七去之惡)이 아니었던가. 그래서 깊은 산중으로 부처를 찾아가 백일 치성을 드리고 대를 잇는 기쁨을 얻는다는 것이다. 결혼 10년이 넘도록 애를 갖지 못한 여성이 백일 치성으로 아이를 얻는 기적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그 기적이 이런 상황 일 수도 ... 여성이 백일 치성을 드리는 동안 이 여성의 행동을 지켜 볼 수 있는 사람은 스님뿐이다. 불공을 드리면서 정담도 나눌 수 있다. 깊은 산속 절간에서의 이들의 만남은 큰 인연이고 100일은 길다면 긴 시간이다. 배란기를 맞춘 마지막 치성 탑돌이로 여성의 정신을 뺏는다. 두 손을 모으고 오직 아들 낳기만을 빌면서 수십,수백 바퀴를 돌고 나면 핑하고 어지럼증이 온다. 기를 쓰고 몇 바퀴를 더 돌지만 탑이 있는 절 마당에 쓰러지기 마련이다. 여인이 쓰러지기가 무섭게 스님의 손에 의해 인기척이 없는 절 방으로 옮겨진다. 이윽고 애를 얻기 위한 숭고한 작업이 시작된다. 여인은 비몽사몽간에 무언가를 느끼고 있지만 노골적인 몸짓은 할 수 없다. 그저 눈을 지그시 감고 아무것도 모르는 체 스님에게 몸을 맡길 수 밖에 없는 일. 이 긴장감이 출렁이는 순간 가만히 발을 밀치고 아무도 보아서는 안 되는 장면을 동자승이 훔쳐본다. 이것이 "스님의 밀교(密交)"를 그려낸 소설 같은 이야기다. 하지만 이 춘화는 스님과 여인의 표정보다도 동자승의 훔쳐보기가 압권이다. 조선시대 춘화는 배경을 이루는 자연경관뿐 아니라 행위가 벌어지는 주변의 경물도 의미 없이 등장하는 법은 없다. 절구와 절굿공이가 있는가 하면 참새나 개의 교미 장면을 살짝 곁들임으로써 강하게 암시하는 수법도 흔히 사용된다. "스님의 밀교"에서 동자승처럼 하녀나 시동이 남녀의 정사를 엿보는 장면을 심심찮게 등장시켜 그림 보는 재미를 돋워준다. 조선시대 춘화가 외설 차원으로 떨어지지 않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기도 하다.
전 단원 김홍도(傳 檀園 金弘道) 운우도첩(雲雨圖帖)
물기가 흥건한 먹으로 묘사된 계곡 입구에는 진분홍의 진달래의 꽃잎들이 자지러게 피어 토파(土坡) 위에 짙은 몸짓의 두 남녀가 앉아있다, 바위와 토파가 결합하는 장면은 주세와 부합 되도록 했음을 알 수 있다, 성적 결합을 우회적으로 표현했다기보다는 음양사상에 기반에 보다 높은 차원으로 승화된 춘화이다,
주모와 노인,두 사람의 표정이 웃기네만....
지금까지 발견된 춘화 중에서 단원의 작품으로 전하는 이<운우도첩>은
가장 뛰어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림들은
매우 사실적이며 진한 감흥을 불려 일으키면서도 속되지 않다, 후대 즉 조선 말기 또는 20세기 전반기에 그려진 춘화들에도 혼교하는 장면이 간간이 등장하지만 그리 흔치않다,
두
쌍의 남녀가 한방에서 정사를 나누고 있는 장면을 묘사한 춘화이다, 표현한
경우는 종종 나타나지만 남녀가 집단으로 어울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즉
침상 위에서 거울을 쳐다보며 성희를 즐기는 모습의 도상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다, 한 두 장면을 결합하여 만들어 낸 도상들인듯싶다,
과부와 총각
휘장이 처진 방안을 배경으로 중년 남자와 여인이 정사를 나누고 있는 장면이 거침없이
표현되어 있다 이곳은
사대부가의 사랑방이다, 18세기 말에 각종 분재를 재배하는 새로운 호사 취미가 유행 했다는 기록을
뒷받침 해 주는 자료이다, 깊이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주인공들이 격렬한 동작과 은밀한 분위기를 잘 살려내고 있다, 완벽함으로 인해 장르 그림으로서의 격조를 잃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춘화의 배경으로 실내나 정원이 등장하는 것은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산수를
배경으로 묘사하는 것은 아마도 조선 후기 춘화에서만 볼 수 있는 현상이다, <고사관수도>나
<고사탁죽도>의 구도를 떠 올리게 한다, 사랑을
나누는 옛사람들의 풍류를 묘사한 풍속도처럼 보인다, 그리고 18세기에 유행한 풍속화의 양식을 바탕으로 그려진다,
야외의 경승처를 춘화의 배경으로 묘사한 것은 중국이나 일본 춘화에서 나타나지
않는 조선 후기 춘화의 전형적인 양식이다, 음양결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있다, 그
바위와 연결된 평지는 마치 바위 속으로 파고드는 거대한 남근을 암시하고 있다, 음양이 결합하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하여 화면의 분위기를 돋우고 있는 것이다,
중년의 사내가 후다닥 옷을 벗어던지고 누워있는 연인에게 달려들고 있는 모습을 해학적으로
묘사한 이 그림은 조선시대 기방 풍경의 일면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긴
담뱃대를 문체 사내를 받아 드리고 있는 여인은 기녀이다, 분명치 않지만 아마도 기생을 독차지하고 있는 남자가 잠시 자리를 비운 틈을 타 급히 일을 치려야 하는 상황임을 암시하고 있다,
해학이
넘치는 대표적인 춘화,
사내의
동작이 에로틱하다기보다는 해학적이다,
이러한
도상 역시 한국 춘화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표정을 짓고 있는 여인은 아마도 직업여성일 것이다, 출처:F1항공요트학교 신윤복 (조선 화가) [申潤福] 1758(영조 34)~? 조선 후기의 화가. 본관은 고령. 자는 입부(笠夫), 호는 혜원(蕙園). 아버지는 화원(畵員)이었던 한평(漢枰)이다.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으며, 단지 도화서(圖畵署) 화원으로 벼슬이 첨절제사(僉節制使)까지 이르렀다는 사실만 알려졌을 뿐이다. 그의 풍속화는 소재의 선택, 구성, 인물의 표현방법 등에서 김홍도의 풍속화와는 현저히 다른 경향을 보여준다. 김홍도가 소탈하고 익살맞은 서민생활의 단면을 주로 다룬 데 반해, 그 는 한량(閑良)과 기녀(妓女)를 중심으로 한 남녀간의 춘의(春意)를 주로 그렸다. 김홍도와의 차이는 인물 묘사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나는데, 대체로 얼굴이 갸름하고 눈꼬리가 치켜올라간 형태로 인물을 그리면서 섬세하고 유연한 선과 아름다운 채색을 적절히 사용했다. 그러나 산수(山水)를 배경으로 풍속화를 전개시키는 경우에는 산수에 보이는 석법(石法)이나 준법(皴法)·수파묘(水波描) 등에서 간혹 김홍도의 영향이 보이기도 한다. 신윤복의 작품에는 남녀간의 애정을 그린 것 이외에도 무속(巫俗)이나 주막의 정경 등 서민사회의 풍모를 보여주는 순수한 풍속화도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으며, 산수화는 담묵(淡墨)과 담채(淡彩)를 주로 사용해 참신한 감각의 분위기를 표현하는 등 조선 말기 이색화풍의 대두에 선구적 역할을 했던 윤제홍(尹濟弘)의 화풍과 유사하다. 신윤복은 대부분의 작품에 짤막한 찬문(贊文)을 쓰고 자신의 관지(款識)와 도인(圖印)을 덧붙이고 있는데, 유교적 도덕관념이 강했던 시기에 속된 그림을 자기의 작품이라고 떳떳이 밝히는 행위가 가능했던 것은 당시 그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그의 화풍은 후대의 화단에 많은 영향을 미쳐 작가 미상의 풍속화나 민화 등에서 그의 화풍을 따른 작품들이 많이 눈에 띈다. 대표작으로는 〈연당야유도 蓮塘野遊圖〉·〈미인도 美人圖〉·〈단오도 端午圖〉·〈무무도 巫舞圖〉·〈산궁수진 山窮水盡〉·〈선유도 船遊圖〉·〈산수도 山水圖〉 등이 있다.
전 혜원 신윤복(傳 惠園 申潤福) 건곤일회첩(乾坤一會帖傳)
전 혜원 신윤복(傳 惠園 申潤福) 건곤일회첩(乾坤一會帖傳) 혜원 신윤복(蕙園 申潤福) 후원탄금도(後苑彈琴圖)
나지막한 촛대에 촛불을 밝히고 두 여인이 춘화를 감상하고 있는 혜원의 그림은 무엇을 말하는 걸까? 약간 상기된 얼굴로 춘화를 바라보는 왼쪽 여인의 거친 숨결에 촛불이 휘날리고 있다. 일그러진 촛불의 묘사는 여인들의 흥분감을 묘사하기 위한 화가의 또 다른 배려 일 것이다. 이처럼 직접화법으로서 춘화가 있는가 하면 간접화법으로서 춘화도 얼마든지 있다는 걸 우리 선조들은 대조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단오날, 허허 옛날에는 결혼후 아이만 있어면 가슴을 내어놓고 다님 왜 방관했을까 우리의 조상님들이 .......
방안에서 남녀가 무슨 일을 하고 있다가 야밤 테이트 허허 지금이나 옛날이나 누군가 들어오는 소리에 당황한 듯 하죠? 아마도 방안의 여인은 기생의 몸종이고 그녀의 몸종과 사랑을 갑자기 기생이 들어오니
상류층은 뱃놀이 요세는 요트 허허 피리와 생황 유혹 손을 강제로 잡고 당기고 있어요 싫은지 좋은지..
무기의 현란한 칼춤 귀신도 놀랐어 가겠네 기생 퇴기 꿈방대와 생황 허허
양반들이 호수에서 여흥 담배는 기생이나, 양반이나 문제야 별감이 성매매 중개 아니면 무슨 일인지 허허
조선시대 기생은 담배 허허
지금이나 옛날이나 술먹고는..... 붉은옷 별감이라네 양반들이
기방 오후 조선시대는 생황연주 무관과 사랑 옆사람은 주선자
신윤복그림:주사거배(酒肆擧盃) 2013. 1. 15. - 2013. 2. 24. 전시장소 : 갤러리 현대 본관, 두가헌
관아재 조영석(觀我齋 趙榮?) 이 잡는 노승
긍재 김득신(兢齋 金得臣) 놀란 물새. 조선 후기
기산(箕山) 김준근 장가가고 기산(箕山) 김준근 설날 널 뛰기 기산(箕山) 김준근 그네 타고 기산(箕山) 김준근 시집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