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익한 정보

[스크랩] 땅에 좋은 퇴비 만들기

락운강촌 2010. 3. 15. 10:13

연두농장 농부 학교 에서 "땅에 좋은 퇴비" 만들기라는 주제를 가지고, 강의도 듣고, 직접 퇴비 만드는 과정을 실습했다.

 

윤재량 강사님은 먼저 좋은 땅이 될려면 탄소와 질소의 비율이 잘 맞아야 한다고 말씀 하셨다.

퇴비에 들어가는 재료은 한약찌꺼기, 볏짚, 오줌, 인분(사람똥), 계분(닭똥), 마분(말똥), 우분(소똥) 돼지똥,굴껍질, 잡초, 등 그 종류도 다양했다.

 

퇴비 만들기

 

볏짚을  20센티 간격으로 썰어서 바닥에 깔아주고 그 위에 한약찌꺼기를 골구로 펴서 덮은 다음, 볏집을 깔아 주고, 그 위에 우분을 깔아 준다 그 다음, 또 볏짚을 깔아주고, 오줌이나 물을 뿌려서 발효가 되게 덮어둔다.  이때 수분의 함량이 60%를 넘어서는 안된다고 한다.

 

음식물 퇴비는 음식물 쓰레기를 물로 한 번 씻어 낸후 음식물쓰레기+ 톱밥 넣고 발효 시킨다.  이때 공기순환이 되어야 한다.

발효가 잘 된 퇴비는 진한회색이라고 한다. 

 

주방용 EM 효소 만들기  1리터 패트병에 쌀뜨물 + 당밀(황설탕)을 넣어서 베란다에 두면 발효가 되면 세제로 사용한다. 하수구 청소할 때 사용하면 냄새가 제거되고 좋다.  주방용 EM효소 만드는 법은 생협에서 강의를 듣고 배웠다.

 

퇴비용 EM 효도 만들기 쌀뜨물 + 당밀+ 이스트+김치국물을 부어주도 되는데 이 때 날파리가 생길 수 있다. 날파리를 없애려면 재를 뿌려주면 된다고 한다.

 

병충해 살균용 액비

 

은행액비, 마늘액비,자리공액비, 오줌액비가 있다. 오줌액비는 오줌+ 이스트를 넣고 2 주후 희석해서 사용하면 된다고 한다.

 

야채 밭에 3일에 한 번씩 바닷물을 주면 좋다고 한다. 만약 바닷물이 없으면 천일염과 물을 희석해서 뿌리면 된다 그리고 굴껍질을 태워서 퇴비로 쓰면 채소가 아삭아삭하고  맛이 좋다고 한다.

우리는 강사님으로 강의를 듣고 딸기 하우스와 액비가 저장된 하우스, 모종 파종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하우스를 구경했다.

 

그리고 돼지수육과 김치에  막걸리 한 잔씩을 나눠마시면서 변대표님으로 부터 자연농법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자연농업을 하면 병충해에 강하고 유기농이어서 몸에도 좋은데, 농산물 품질이 개발되고, 단작을 하면서 병충해가 발생되어, 농약을 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조환규씨는 60년대에 일본에 가서 자연농법을 배워오셔서 농사지으셨고,  전 정농회 회장 강대인님은 쌀겨농법으로 농사를 짓으셨고, 정농회 회원들은  주로 기독교인들이 많았으며 순환농법을 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화학비료, 농약을 치지 않는 유기농법의 시작이었다고 한다.

 

태평농법은 귀농을 한 사람들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고, 한 마디로 태평하게 속된 말로 게으르게 키운다. 잡초를 제거하지 않고, 깎아서 바닥에 깔아 자연적으로 퇴비가 되게 하고, 잡초를 뽑아 내는 것이 아니고, 뿌리를 남겨두고, 위에만 긁어내서 죽게 만든다.  생산량이 적지만, 우리 몸에는 좋은 농법이라고 한다.

 

 5년 전 부터는 예술 자연농법이 선을 보였는데 비료와 퇴비도 주지 않고, 음악을 들려주면서 농작물을 키운다. 떼죽나무, 자리공, 소리쟁이등을 이용해서 병충해를 예방한다.

 

과수농법

과수원에서 잡초를 뻬어서 뿌리고, 호밀을 심어서 베어 뿌리면 자연퇴비가 되어 땅의 질이 좋아진다.

 

콩, 호밀농법

콩이 자라기 전에 호밀 고랑에 뿌려서 자라면 뻬어서 덮어 놓는다. 그러면 새들이 콩도 안 파먹고, 퇴비가 되어 땅의 질이 좋아진다고 한다. 이를 또 다른 말로 청초재배라고도 한다.

 

땅에 6년 농사를 짓으면 1년은 휴경지로 만드는 것이 좋다고 한다. 왜냐하면 땅도 숨을 셔야 건강해 지니까  위와 같이 땅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발효가 잘 된 퇴비를 사용해야 되고, 발효가 잘 된 퇴비에서는 흙냄새가 난다고 한다. 그 흙은 병충해를 막아주는 항생제 역활도 한다고 한다.

 

오늘 좋은 퇴비 만들기와 유기농법에 대한 강의는 실질적으로 농사현장에서 농민들이 실천해야 될 일이여서 매우 유익한 강의였다.

 

 

 


출처 : 그대가 머문자리
글쓴이 : 선덕여왕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