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측백나무의 효능 **
◎ 약재에 대하여
측백나무는 예부터 신선이 되는 나무로 알려져 귀하게 대접받던 나무다.
잎이나 열매를 먹고 신선이 되었다거나 몇 백 년을 살았다는 얘기가 많이 전해진다.
옛날 진나라 궁녀가 산으로 도망쳐서 선인이 가르쳐 주는 대로 소나무와 측백아무 잎만 먹고
살았더니 추위와 더위를 모르게 되었을 뿐 아니라 온몸에 털이 난 채로 2백 년 이상을 살았다고
한다.또 적송자라는 사람이 측백나무 씨를 먹었는데 빠졌던 이가 다시 나왔다고 했으며,
백엽선인은 측백나무 잎과 열매를 8년 동안 먹었더니 몸이 불덩이처럼 되고 종기가 온몸에
돋았다가 깨끗이 나았는데 그 뒤로 몸이 가벼워지고 얼굴에서 빛이 나며 결국 신선이
되어 우화등선했다고 한다.
◎ 약성 및 활용법
측백나무에는 무덤 속의 시신에 생기는 벌레를 죽이는 힘이 있다.
좋은 자리에 묻힌 시신에는 벌레가 생기지 않지만 나쁜 자리에 묻힌 시신에는 진딧물을 닮은 자잘한
벌레가 생겨서 시신을 갉아 먹는데, 이 벌레를 염라충이라고 부른다.
측백나무를 묘지 옆에 심으면 시신에 벌레가 생기지 않는다.
측백나무 잎을 쪄서 말리기를 아홉 번 거듭하여 가루를 만들어 오래 먹으면 온갖 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다.
몸에서 나쁜 냄새가 없어지고 향내가 나며 머리칼이 희어지지 않고 이빨과 뼈가 튼튼해져서 오래 산다.
고혈압과 중풍을 예방할 수 있고, 몸이 튼튼해지며 불면증, 신경쇠약 등이 없어진다.
◎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간암이나 간경화 등으로 복수가 찰 때에는 구증구포한 측백 잎을 달여서 오소리 쓸개와 함께 복용하면 복수가 빠지고 소변이 잘 나오게 된다.
▶ 측백나무 씨앗은 백자인이라 하여 자양강장제로 이름이 높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렸다가 단단한 겉껍질을 없앤 뒤에 쓴다.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신장과 방광의 기능을 좋게 하며 대변을 잘 보게 하는 작용이 있다.
▶ 몸이 허약하여 식은 땀을 자주 흘리거나 변비, 뼈마디가 아픈 질병 등에 효과가 있다. 씨앗을 가루 내어 한 숟갈씩 따뜻한 물에 타서 복용한다.
▶ 측백나무 씨앗으로 만든 술인 백자주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과실주의 하나로 고려 명종 때에 만들어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
▶ 측백 잎을 구증구포하여 차 대신 달여서 오래 마시면 나름대로 맛과 향도 괜찮거니와 무병장수에 큰 보탬이 될 수 있다
측백나무는 나무껍질이 세로로 굵게 갈라지며 회갈색이다.
효 소 담 그 기 : 측백나무 발효액을 만들 때는 다른 침엽수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한다. 잎을 따서 깨끗이 씻어 말린후 동량의 흑설탕과 함께 항아리에 넣어 발효 시킨다. 열매가 벌어지기 전에 따서 같이 쓸수 있다. 빠른 발효법으로 이용하고자 하면 생수에 동량의 백설탕을 녹여 시럽을 만들어 동량의 잎과 함께 항아리에 부어 발효시킨다.
일주일 정도 지나면 발효가 되므로 넘치지 않도록 주의하고 용기에 3/4정도 차도록 담아 발효시킨다. 지속적으로 발효가 되므로 구멍이 큰 용기를 이용 하고 아구리가 좁은 유리용기는 피한다. 음용할때는 가급적 공복에 마시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침엽수와 잎은 소화가 잘 안된다. 드러나 발효액을 담가 쥬스처럼 마시면 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전신의 활력을 되찾아준다. 단점은 한꺼번 에 많이 담글 수가 없다. 보관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생수를 적게 사용하 여 원래의 즙액을 만들었을 경우에는 장기 보관해도 문제가 없다. 발효가 다 끝났으므로 변질의 우려가 없다. 효 능 : 측백나무는 주로 봄, 가을에 잎이 붙은 어린가지를 잘라 그늘에서 말린다. 폐, 간, 대장경에 작용한다.
*지혈작용 (혈분의 열을 없애고 피나는 것을 멈춘다. 잎을 쪄서 말리기를 아홉번 거듭하여 가루로만들어 상복하면 온갖 병을 예방할수 있다고 한다. 측백엽은 피를 차게 하며 출혈을 멈추게 한다. 열성 출혈 증상에 좋다. 출혈량이 많으면 잎을 태워서 쓴다.) *청열화습의 효능 (풍습, 습열에 의한 관절통에도 쓴다.) *소염, 해독의 효능 (단독의 치료에도 쓴다.) |
'유익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경조사 이름 * 봉투 쓰기 ▣ (0) | 2011.10.18 |
---|---|
전신주 고유번호 (0) | 2011.10.14 |
[스크랩] 중풍" 안걸리려면 이런것 금식해야. (0) | 2011.10.07 |
각 지방의 명칭별 설명서 (0) | 2011.09.29 |
먹지 말아야 할 독성 채소 9가지 (0) | 2011.09.27 |